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과 함께 알아보고자 하는 질환은 대상포진입니다.
생각보다 주변에 굉장히 흔하며 나이불문 여러분들께서도 항상 주의하셔야 합니다.
대상포진이란?!
띠 모양의 발진'이라는 뜻으로 피부의 한 곳에 통증과 함께 신경대를 따라서 줄무늬 모양의 발진과 수포들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통증이 매우 심한 것이 특징입니다.
어렸을 때 앓았던 수두 바이러스가 없어지지 않고 특정 신경 속에 있다가 몸이 약해지거나 면역력이 떨어질 때 다시 세포막을 깨고 나와 신경 섬유를 따라 이동해, 해당 신경에 가까운 피부에 바이러스성 감염을 일으킵니다.
세계적으로 대상포진 발병 비율은 한 해 건강한 사람 1천 명 당 1.2 ~ 3.4명 꼴이며, 65세 이후의 경우에는 1천 명 당 3.9~11.8명 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합니다.
대상포진 원인
대상포진의 주된 원인은 고령, 면역 저하제 사용, 이식, 에이즈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신경을 따라 피부로 다시 나오면서 대상포진이 발생합니다.
암, 에이즈,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이식 후 거부 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 억제제를 복용하거나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경우에 면역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질병, 사고, 스트레스 등으로 몸의 면역력이 약해져 대상포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대상포진 증상
대상포진은 주로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에 생깁니다.
그러나 신경이 있는 부위이면 얼굴, 팔, 다리 등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통증이며 통증은 몸의 한쪽 부분에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프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의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1~3일 정도 이어진 후 붉은 발진이 나타나며, 열이나 두통이 발생합니다.
수포는 2~3주 정도 지속되고 수포가 사라진 후 농포, 가피가 형성되며, 점차 사라집니다.
통증은 병변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될 수 있으며 이것이 포진 후 신경통이라고 합니다.
드물게 수포 없이 통증이 발생하거나 통증 없이 수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포진 후 신경통의 통증이 일반적인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심한 경우, 신경 차단술 등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대상포진 치료
대상포진은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조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대상포진으로 인한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진통제를 복용합니다.
진통제의 종류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선택합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과 대상포진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수포주위에 바이러스가 감염되면 치료가 지연될 수 있으니 특히 주의하셔야합니다.
대상포진으로 고통받으시는 분들께서는 꼭 병원에 방문하셔서 치료를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글은 여기서 마무리하고 여러분들의 건강한 생활을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국인을 위협하는 "위암"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5.03.21 |
---|---|
위궤양 증상 원인 치료 알아봅시다. (1) | 2023.11.01 |
우울증 초기 증상, 우울증 자가진단, 우울증 원인 (1) | 2023.10.31 |
하지정매류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10.25 |
치주염 원인, 증상, 치료 알아봅시다. (0) | 2023.10.24 |